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KPI 소개

평화와 공동체적 나눔이 충만하여 인권과 자유가 보장되는 하나된 한반도를 열어가는

기본이미지 alt

KPI 연혁

연혁

1993
  • 남북나눔운동 창립과 함께 남북나눔운동 연구위원회 조직(위원장: 이만열, 부위원장: 윤영관)
  •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월례세미나 134회 실시, 북한방문, 분단국 방문연구
2006
  • 남북나눔운동에서 독립된 연구원을 설립하기로 결정
2007
  • 2월12일 한반도 평화연구원 창립총회 및 개원식 (원장: 윤영관)
  • 제1회 ~ 제7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새터민 전문사역자 교육프로그램(1기)
  • 비영리 사단법인 설립허가(통일부)
2008
  • 제8회 ~ 제12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새터민 전문사역자 교육프로그램(2,3기)
  • 『북한문제와 한반도평화정착』 발간 (2009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)
2009
  • 제13회 ~ 제19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새터민 전문사역자 교육프로그램(4기), 새터민 담당자 교육 (부산)
  • 통일부장관 표창 (우수법인)
  • 『7.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 경제와 사회 : 계획에서 시장으로?』 발간
  • 『남북경제협력 정책과 실천과제』 발간 (2010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)
  • 『오바마 행정부와 한미전략동맹』 발간
2010
  • 제20회 ~ 제24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새터민 전문사역자 교육프로그램(6기), 취업지원팀 사업 종결
  • 『통일실험, 그 7년 :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살이 패널연구』 발간
  • 『북한인권개선, 어떻게 할 것인가 : 평화적 개입 전략과 국제 사례』 발간
2011
  • 제2대 이장로 원장 선출
  • 제25회 ~ 제32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2012
  • 제33회 ~ 제36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『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기독교』 발간
  • 『체제전환국의 경험과 북한교육 개혁방안』 발간
2013
  • 제3대 전우택 원장 선출
  • 제37회 ~ 제40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『평화와 반평화 – 평화인문학적 고찰』 발간
2014
  • 제41회 ~ 제43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『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』 발간
  • 『통일한국의 교육 비전』 발간
2015
  • 제44회 ~ 제49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『남북한 경제통합』 발간
2016
  • 제50회 ~ 제51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제1차, 2차 CBS와 공동기획 특별포럼 포함 5회의 특별포럼 개최
  • 『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』 발간
2017
  • 한반도평화연구원 10주년 기념행사 (3.20, 그랜드앰배서더 호텔)
  • 제4대 윤덕룡 원장 선출
  • 제52회 ~ 제56회 한반도 평화포럼 개최
2018
  • 제57회 ~ 제59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2018 KPI 대북/통일 NPO교육 2회 개최
  •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』 발간 (2019 세종도서(사회과학 학술부문) 선정)
2019
  • 제60~61회 한반도평화포럼 개최
  • 한반도평화연구원-미래나눔재단 특별공동포럼 개최(중간 연구보고서 발간)/li>
  • 기독교통일학회, 온누리교회 통일위원회와 ‘복음-평화-통일 컨퍼런스’ 공동개최
  • 2019 한반도평화연구 차세대(대학원생) 아카데미 개최
2020
  • 『한국사회 공동체성에 대한 현재와 미래』 발간
  • 한반도평화연구원-미래나눔재단 특별공동포럼 개최(연구보고서 최종결과발표)
  • 2020 한반도평화연구 차세대(대학원생) 해외연수-워싱턴 D.C.
  • 2020 대북/통일 NPO 실무자 교육 개최
  • 2020 한반도평화연구 차세대(대학원생) 아카데미
  • 서울시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허가
2021
  • 제5대 조동준 원장 선출
  • 『평화와 반평화-평화인문학적 고찰』 개정증보판 발간
  • 2021 한반도평화연구 차세대(대학원생) 워크샵(International Webinar)

    2021년 4월까지 연구단행본 16권 출간, 연구과제 25건 수행,
    평화포럼 61회, 원내세미나 140회, 시네토크 33회,
    새터민 사역자교육 6회, 학문후속세대 세미나 9회,
    대북/통일 NPO교육 3회 개최,
    차세대(대학원생) 아카데미 2회, 워크샵 2회 개최